계조와 다이나믹레인지 관용도에 대하여 혼돈하는 수많은 억측이
난무하는 현실을 개탄하여 수년전에 작성하여 올린 게시물을
요약하여 간략하게 논술합니다.

관용도

필름에서 해당 되는 용어 입니다.

이것은 현상/인화 과정에서의 증감을 통하여 몇스탑 오버 노출이거나
몇스탑 언더노출을 적정 노출과 비슷한 수준의 인화물을 만들어 줄수
있는 한계치를 지칭합니다.

예를 들면 ISO 100 필름을 ISO 400으로 촬영 (이리되면 약 2스탑 언더노출)
후 현상 인화과정에서 증감 하여 정상노출과 유사한 밝기로 출력하는 것을
들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다이나믹레인지와는 무관 합니다.

아주 어두운 암부는 증감을 통하여 적정한 밝기의 암부가 되지만
밝은 하일라이트 부위도 동시에 증감이 되어 지나치게 밝은 하일라이트가
되어 계조가 거의 상실하는 수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약간의 사고 실험을 통하면 관용도가 넓을수록 다이나믹레인지를 증가 시키는
수단도 존재 합니다.

예를 들면 -2~+2 스탑 증감이 가능한 필름이 있다고 할때
최암부는 +2스탑 증감하고 최명부는 -2 스타 증감할수만 있다면
이경우 총다이나믹레인지는 적정노출에 증감을 통하지 않은 현상/인화 보다
약 4스탑의 다이이나믹레인지가 추가 확보 됩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불가능 합니다.특정 부위만 선택하여 증감하는
것은 난센스가 되기 때문 입니다.

따라서 관용도는 다이나믹레인지와 무관하다는 것이 증명 됩니다.

다만 노출의 실패를 교정하는 수단으로써의 의미만 존재하게 됩니다.


다이나믹레인지

하나의 이미지에서 계조를 표현할수 있는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의
밝기의 비 입니다.

이것이 넓다면 다른 카메라에서는 날아가는 명부도 날아가지 않게 되며
다른 카메라에서는 날아가는 암부도 검게 날아가지 않게 됩니다.

그런데... 전체 유효 데이타 표현력이 동일하다면
다이나믹레인지와 계조는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계조를 나쁘게 하면 전체 다이나믹레인지 대역을 넓힐수 있습니다.

어떤 식이냐 하면 이미지의 콘트레스트를 낮아지게 하면 됩니다.
예를 들면 콘트라스트를 두배 낮게 하면 다이나믹레인지를 두배 넓힐수
있습니다.그러나 이런식이면 계조는 2배 나빠지게 됩니다.

그런데 계조가 나빠지지 않으면서도 다이나믹레인지를 넓힐수도 있습니다.
전체 유효 데이타 표현력이 달라지면 됩니다.

예를 들면 4배 넓은 다이나믹레인지에 동일 계조표현력이라면
각각의 데이타 비트수가 2비트 늘어나면 됩니다.

이러한 것의 대표적인 예는 S3pro의 14비트 RAW같은 것이 있습니다.


계조

이것은 계조의 단계의 미세함을 뜻합니다.
그런데 카메라마다 다릅니다.

픽셀당 전체 유효 데이타 표현력이 동일하더라도
대체로 코닥이나 후지는 계조가 좋습니다.

이것은 RAW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8비트 R/G/B로 제한되는 S-RGB색공간의
Jpeg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느냐 하면
대부분의 DSLR출력 이미지는 8비트 R/G/B로 제한되는 S-RGB색공간의
Jpeg 출력물의 계조도 커버 하지 못하는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만일 그렇지 않았다면 후지나 코닥의 계조가 좋네 나쁘네 하는 이야기는
나올수 없게 됨을 유념하세요)

그런데 픽셀당 전체 유효 데이타 표현력이 동일하지 않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이경우는 위의 다이나믹레인지의 상황의 역 상황이 됩니다.

이러한 경우는 픽셀당 전체 유효 데이타 표현력이 클수록 계조는 좋아지게 됩니다.
어떤 식이냐 하면 콘트라스트를 낮추지 않고 동일하게 유지 시키는 방식을 가정 하면
됩니다. 이경우는 전체 다이나믹레인지는 비슷하게 됩니다. 그리되면 당연히
픽셀당 전체 유효 데이타 표현력이 클수록 보다 풍부한 계조를 표현할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게 됨은 자명하게 되지요.(이것은 초등학생 수준의 논리력만 있다면
쉽게 이해할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예를 든다면
12비트 RAW방식의 코닥의 SLR/N이나 캐논 5D 와
14비트 RAW방식의 후지의 S3Pro의 비교를 들수 있습니다.

비슷한 계조 수준이라면 S3Pro의 다이나믹레인지가 훨씬 넓음은 자명하며

비슷한 다이나믹레인지 수준의 출력이라면 적어도 RAW원본 단계라면S3Pro의
계조가 SLR/N보다 훨씬 미세함을 알수 있습니다.(다만 4배까지 세밀하지는
않을수 있습니다.)

물론 8비트 S-RGB 색공간의 Jpeg으로 컨버팅하면 차이는 줄어들게 됩니다.

출처 : http://blog.naver.com/zelkobaray?Redirect=Log&logNo=10016314069

네이버 블로그 '열정'님의 블로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정리가 잘된 것 같아서 그래도 옮겨왔습니다.

by º(^㉦^)º곰돌군 2008. 8. 31. 01:50